RS바이러스에 감염되어 발생하는 감염성 호흡기 질환입니다. 이 질환이 유행하면 만 2세까지의 아이들은 거의 모두 걸릴 정도로 아이들에게는 감염력이 높다고 합니다. 이번 겨울은 독감, 코로나19 바이러스에 이어 RS바이러스까지, 영유아가 있는 가족에게는 혹독한 계절이 될 것 같습니다.
RS바이러스, 호흡기 세포 융합 바이러스
이 바이러스의 무서운 점은 한번 감염될 경우 평생 지속적으로 재감염이 이루어진다는 것입니다. 성인의 경우 가벼운 감기증상으로 나타나는 경우가 많지만, 노령층과 중증 질환자의 경우는 중증 감염이 유발될 수 있습니다. 또 만 2세까지는 거의 모든 아이들이 감염될 정도로 감염력이 높다고 합니다. 5세 미만의 아동이 감염될 경우 입원율이 높다고 하며 너무 어린 아이의 경우 사망률이 증가된다고 하니, 영유아를 양육하는 가정에서는 특히 조심히야 할 것 같습니다.
원인과 증상
RS 바이러스는 일상생활에서 접하기 쉬운 바이러스이며 부엌 조리대나 장난감, 수건, 담요나 이불, 사용한 휴지 등과 같은 물건에 묻어 있는RS 바이러스와 접촉하면, 감염될 수 있습니다. 가족의 수가 많거나 어린이집, 유치원 등 집단 활동이나 생활을 하는 아이들이 상대적 감염률이 높습니다.
증상은 2~8일의 잠복기를 거치고 나면 재채기, 코막힘, 인후통, 발열 등 감기와 비슷한 증상을 보입니다. 하지만 기침을 심하게 하고 쌕쌕거리는 숨소리를 보이면서 숨쉬기를 어려워 합니다. 또 피부색이 청색이나 회식을 띄고 먹거나 마시는 것, 잠자는 것을 힘들어하는 심각한 증상으로 발전합니다. 아동이 감기 증상을 보인다면 빠르게 병원을 방문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RS바이러스는 예방 백신이 따로 없다고 하는데요. 미숙아나 만성 폐질환을 가진 고위험군의 아이는 감염될 경우 심각한 합병증을 가질 수 있다고 합니다. 독감과 코로나19 바이러스와 함께 올 겨울 유행한다고 하니, 바이러스가 묻어 있을 수 있는 주방 도구나 이불 등을 자주 세척하고 소독하는 것이 그나마 바이러스를 예방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이 바이러스는 5세 미만 아동이 감염되면 입원율이 높으며, 생후 3개월째가 감염 후 입원율이 가장 높은 연령입니다. RS 바이러스는 주로 모세 기관지염과 폐렴으로 진행됩니다. 어린 아기가 RS 바이러스에 감염될 경우 사망 위험률이 증가합니다. 미숙아나 만성 폐질환, 선천성 심장 질환을 보유한 고위험군 아기가 RS 바이러스에 감염되면 심각한 합병증이 유발될 수 있습니다.
'각종 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성범죄자 조두순 월세집 전세 만료로 이사 (0) | 2022.11.22 |
---|---|
윤석열 대통령 도어스테핑 중단, MBC때문이다? (0) | 2022.11.22 |
윤하 차트 올킬, '사건의 지평선' 역주행 신화 (0) | 2022.11.21 |
2022 카타르 월드컵, BTS 정국 개막식 무대 장식 (0) | 2022.11.20 |
'빈곤포르노'가 뭐길래? 김건희 여사 캄보디아 방문 사진 논란 (0) | 2022.11.18 |
국내 항공사 승무원, 로스앤젤레스에서 피습 (0) | 2022.11.17 |
푸틴 G20 불참 공식화, 미-러 정상 회담 개최도 불발 (0) | 2022.11.10 |
이태원 사고 특별수사본부, 해밀톤 호텔 압수수색 (0) | 2022.11.09 |